E멜렉's Ring to Ring
보건증 발급 방법과 보건증의 유효기간을 알아보자 본문
알바를 하거나 취업을 했을 때 자소서, 이력서 다음으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중 하나인 보건증!
특히나 요식업 분야에서는 제출이 안되면 과태료를 내야 할 정도로 필수적인 서류인데요
저도 알바를 막 시작할 때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하는데 어떻게 발급 받는지 몰라서 해맸던 적이 있답니다.
오늘은 보건증을 발급 받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증 발급 방법
보건증을 발급 받는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보건소로 신분증과 수수료 1,500원을 지참해서 방문하시면 되는데요
꼭 내가 사는 지역의 보건소에만 방문해야하느냐? 아닙니다!
주민등록에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가까운 보건소에서 보건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를 방문하게 되시면 접수하는 곳에서 보건증을 발급 받기 위해 왔다고 접수를 하시면 됩니다.
접수 후에는 결핵 진단을 위한 x-ray 검사, 소변검사,이질검사를 하게 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오래 걸리는 검사가 아니기 때문에
방문해서 검사를 완료하기까지 20분~30분 정도 소요 된답니다.
검사가 완료되시면 보건증을 수령해야하는데
보건증 발급까지 1주일 정도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건증 수령시에는 앞서 말씀드렸던 신분증을 꼭 가져가셔야합니다.
신분증이 없는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학생증과 주민등록증이 필요하며
가족이 대리수령을 할 때에는 수령자와의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한 점 잊지마시길 바랍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보건증에도 유효기간이 있다는 점 알고 계신가요?
기간이 지나면 갱신해야하는 다른 자격증들 처럼 보건증도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갱신해서 새로 발급받고 제출해야하는 것이 규정입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1년이 지나면 갱신을 통해 재검사를 받아야하며
교직관련 종사자는 6개월, 유흥주점 종사자는 3개월의 유효기간을 갖고 있습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
보건증을 한번 발급한적이 있다면 유효기간 내에 인터넷에서 발급이 가능한데요
공공보건포털에 들어가셔서 재증명발급이 가능하답니다.
http://www.g-health.kr/portal/index.do
번거롭게 보건소로 갈 필요없이 집에서도 출력이 가능하니
정말 편리한 기능인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보건증 발급절차와 유효기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아무 정보 없이 보건소에 가서 보건증을 발급받고 기다리기 보다는
미리 절차를 알고 간다면 좀 더 수월하게 발급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매직 지우는법을 알아보자! (0) | 2018.12.21 |
---|---|
대전 지하철 시간표를 알아보자 (0) | 2018.12.20 |